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촌수 가계도 알아보기

by 탐험하는쥬쥬 2025. 4. 6.
반응형

가족 모임이나 제사, 상속 때마다 헷갈리는 촌수.
이 글에서는 촌수가 무엇인지, 가계도에서 어떻게 계산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정리합니다.

7--

 

1. 촌수란 무엇인가요?

‘촌수’란 사람 사이의 혈연 관계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쉽게 말해, 나와 친척 사이가 얼마나 가까운지를 숫자로 표시한 것이며,
1촌이 가까울수록 혈연관계가 가까운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와 자녀는 1촌이고, 형제자매는 2촌입니다.
촌수가 멀수록 관계가 멀다는 뜻이며,
법적으로는 상속, 혼인 가능 여부, 호적 정리, 재산 분할 등에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2. 촌수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촌수는 아주 간단한 원칙을 따릅니다:

나와의 공통 조상까지 가는 단계 수 + 상대방이 그 조상으로부터 떨어진 단계 수 = 촌수

이를 ‘직계’와 ‘방계’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3. 직계와 방계란?

구분 설명 예시
직계 나와 피가 이어져 있는 바로 위나 아래 부모, 조부모, 자녀, 손자 등
방계 나와 같은 조상을 두고 갈라진 관계 형제, 사촌, 이모, 조카 등

 

예를 들어,

  • 부모는 나와 직접 연결된 한 단계 → 1촌
  • 형제는 부모(공통 조상)를 기준으로 각자 1단계 → 1+1 = 2촌

 

4. 기본적인 촌수 정리

관계 촌수
부모, 자녀 1촌
형제자매 2촌
조부모, 손자녀 2촌
삼촌, 이모, 고모, 외삼촌 3촌
사촌 (삼촌·이모 자녀) 4촌
5촌, 6촌 먼 친척 (사촌의 자녀, 조카의 자녀 등)

 

보통 4촌 이내를 가까운 친척,
그 이상을 먼 친척으로 분류합니다.

 

5. 촌수 가계도 쉽게 보기

촌수를 잘 이해하려면 가계도를 한 번 그려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예시 가계도


  • ├── 부모 (1촌)
    │ └── 조부모 (2촌)
    ├── 형제 (2촌)
    ├── 자녀 (1촌)
    │ └── 손자녀 (2촌)
    ├── 삼촌/이모 (3촌)
    │ └── 사촌 (4촌)

이처럼 나를 중심으로 위로 올라가거나 옆으로 갈수록 촌수가 늘어납니다.

 

6. 촌수 계산 예시

예시 1. 나와 형의 자녀(조카)의 촌수는?

  • 형 → 2촌
  • 형의 자녀 → 형을 거쳐 내려가므로 1촌 추가
  • 총 3촌

예시 2. 나와 사촌의 자녀(사촌조카)의 촌수는?

  • 사촌 → 4촌
  • 사촌의 자녀 → 한 단계 더 떨어짐
  • 총 5촌

 

7. 혼인 가능 여부와 촌수 제한

과거에는 가까운 친척끼리는 혼인이 법적으로 제한되었지만,
현재는 4촌 이내의 혈족 간 혼인만 금지되어 있습니다.
즉, 5촌 이상은 법적으로 혼인이 가능합니다.

예: 사촌끼리 결혼은 불가능
오촌 이상은 가능

 

이는 민법 제809조에 따라 명시되어 있으며,
혼인 외에도 상속인 자격 판단에도 촌수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8. 상속과 재산 분배에서의 활용

상속 시에도 가까운 촌수부터 우선순위로 상속권이 부여됩니다.

순위 대상 촌수
1순위 배우자 + 자녀 1촌
2순위 부모 1촌
3순위 형제자매 2촌
4순위 조부모 2촌

 

이처럼 촌수가 가까울수록 상속 권리가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9. 촌수 계산 시 주의할 점

  • 혼인으로 인한 배우자의 친족은 ‘인척’ 관계로 따로 봅니다.
    예: 시아버지, 처제 등은 혈연관계 촌수에는 포함되지 않음
  • 양자나 입양 관계도 촌수는 인정되며, 법적 혈족으로 간주됩니다.
  • 외가(외할아버지, 외삼촌 등)도 동일한 방식으로 촌수를 계산합니다.

 

결론

촌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혈연관계의 거리와 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가족 간의 법적 권리, 의무, 상속, 혼인 여부 등을 판단할 때
촌수에 따라 적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족 모임이나 족보를 볼 때,
또는 재산 문제나 상속이 얽힌 상황에서는
촌수를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